구청 로비가 산뜻해졌습니다


주민의 편의성도 높이고, 동작구 상징물도 소개하고….
‘일석이조·일타이피’의 방법이 없을까 고민하던 차에 
중앙대에 도움을 요청했습니다. 


학생들의 재능기부를 통해 
구청의 로비 디자인을 바꿔달라고 부탁했습니다.





오늘, 재능기부에 참여해준 

중앙대 디자인학부 9명 학생들에게 

감사의 상장을 수여했습니다.





이 모든 게 가능하도록 물심양면으로 도와주신 
중앙대 LINK사업단장 김원용 교수님께도 

깊이 감사드립니다.



'컴퓨터․스마트폰, 고령자는 배우기 어렵고 사용하기 힘들어 한다’고 합니다. 편견에 불과합니다. 이번에 우리 구 ‘어르신 정보화교육’을 수료하신 3분의 어르신께서 몸소 보여주셨습니다. 

지난 6월, IT분야의 전국체전 격인 ‘2016 국민행복 IT경진대회’가 있었습니다. 동작구에서는 세 분의 어르신께서(정창무, 박재명, 이규영 님) 참가하셨는데요. 무려 ‘5.6:1’이나 되는 치열한 예선을 뚫고, ‘서울시 대표’로 본선에 진출하셨습니다.




그리고 본선에서 박재명 님은 고령자부문 ‘대상’을 수상하는 쾌거를 이루셨습니다. 대상 수상자 ‘박재명 님’의 연세는 69세(1948년생)입니다. 

올 해로 15년째 개최되는 ‘국민행복 IT경진대회’는 미래창조과학부와 한국정보화진흥원이 주관하는 전국 최대 규모의 행사입니다. 전국의 고령자․장애인․결혼이민자를 대상으로 치뤄지는 만큼 본선에 진출하기도 무척 어렵습니다. 



본 대회를 향한 어르신들의 열의에 ‘경진대회 특강반’이 만들어지는가 하면, 수상경력이 있는 타 지자체 어르신을 초빙하여 코칭을 받는 등 준비를 많이 하셨더군요. 

덕분에 서울에서 가장 많은 본선 진출자가 나오고 대상까지 수상했습니다. 우리 어르신들이 무척 자랑스럽습니다!

취미․여가활동이 일자리로 이어지면 가장 좋을텐데요. 고민해보겠습니다.



동작구 ‘어르신 정보화교실’은 55세 이상 동작구 거주하는 어르신은 누구나 신청할 수 있습니다. 경로당에서 신청하시면 방문교육도 가능합니다.(문의: 정보화교육 콜센터 ☎ 1600-1902)

망설이지 마시고 도전해보세요!



현재 대한민국의 고령화는 세계에서 가장 빠르게 진행 중입니다. 빈곤·고독(사회적 고립)·우울 및 건강약화·역할상실 등의 노인문제가 사회문제가 된지도 이미 오래입니다. 

근래 들어 서울시를 중심으로 노인의 복지와 의료, 건강과 고용뿐이 아니라 고령자가 보람을 갖고 아름다운 노령기를 보낼 수 있는 다양한 방안들이 논의되고 있습니다. 그중의 하나가 '경로당의 역할 변화'입니다. 



최근 어르신들의 기대수명과 교육수준이 높아지면서 단순한 여가시설이었던 경로당이 '문화·건강시설'로 빠르게 변하고 있습니다. 레크리에이션 및 웃음치료, 실버웃음, 노래교실, 건강체조, 요가, 국학기공 등의 다양한 프로그램을 접근성이 높은 지역 경로당에서 누구나 쉽게 즐길 수 있도록 바뀌고 있습니다. 

또한 일부 지자체 경로당의 경우, 마을 어린이들에게 가마놀이와 공기놀이 같은 전통놀이 및 생활한자·명심보감 등을 가르치며 일정부분의 '돌봄기능'을 담당하기도 합니다. 


< 신천청아람경로당 전통예절교실의 교육 모습 >



우리구는 2015년부터 '백송경로당'과 '사당5동 경로당'을 「개방형 경로당」으로 바꾸고 있습니다. 경로당의 일부 공간을 주민편의 공간으로 개선해 '세대 간 교류'를 촉진하기 위해서입니다. 

핵가족화가 진전되고 그로 인한 무연고 노인이 늘어가는 요즘, 최선의 노인복지는 '노인이 정든 마을에서 가족·친구·이웃과 지속적으로 교류하며 살아갈 수 있도록 돕는 것'입니다. 이를 위해 경로당 개방은 반드시 필요합니다. 어르신 전용시설인 경로당을 주민에게 개방함으로써 마을공동체가 더불어, 오랫동안, 함께 살아가기 위한 지혜와 방법을 모색해야 합니다. 

결국 「개방형 경로당」이야말로 고령화 시대를 대비해 가장 '앞서가는 경로당'입니다. 가장 '고령친화적인 경로당'입니다. 



민선 6기 임기 후반부를 시작한지도 벌써 10여일이 지났습니다. 시간의 흐름이 이렇게 빠를수도 있구나를 느낍니다. 지난 2년은 그 어느때보다 알차고 보람있게 지냈다고 자부합니다

민선 6기 후반부를 시작하며, 지난 토요일 구청 강당에서 약 200여명의 주민들과 동작구의 미래발전상에 대해 무려 세시간에 걸쳐 열띤 토론을 벌였습니다. 일명 "제1회 동작구민 원탁회의" 입니다.



현장에서 특정그룹 주민들의 의견은 많이 들어보았지만, 성별·나이·직업·지역 구분 없이 한 곳에 모여 토론하기는 이번이 처음입니다.

이야기를 들었다기 보다는 
처음으로 주민 모두의 의견이 공유했다고 하는 것이 더 정확한 의미인 듯 합니다.



가장 바쁜 토요일 오후에 격론을 벌여주신 토론 참여자님, 머리숙여 감사드립니다. 
감동, 그 자체였습니다.

반드시! 여러분들께서 주신 의견 소중하게 반영하도록 하겠습니다. 
정성을 다해 열심히 하겠습니다.


유니세프, 월드비전, 굿네이버스, 플랜코리아,

세이브더칠드런, 국제기아대책기구, 컴패션 등등

 

우리나라 국민들은 기부를 하고자 할 때

대부분 인지도가 높은 외부 구호단체를 선호합니다.

<인지도가 곧 신뢰도>라고 믿는 탓입니다.

 

반면 미국인들은 지역 내 구호단체를 선호합니다.

자신의 기부금이 <누구를 위해, 어떻게 쓰이는지>

쉽게 알 수 있기 때문입니다.

 

 

 

 

<동작구에는 동작복지재단이 있습니다.>

 

동작복지재단(박상배 이사장)은 동작구민의

다양한 복지 수요를 충족하기 위해 2004년에 설립되었습니다.

 

<1:1 결연사업>을 비롯해 <아동발달지원사업>, <Happy Fund>,

<저소득 틈새가정 지원사업> 등 도움이 필요한 우리구 이웃들과

그 자녀들을 위한 다양한 지원 활동을 펼치고 있습니다.

 

 

 

이제 우리의 기부문화도 바뀔 때가 되었습니다.

구호단체를 선택하기에 앞서 <나의 기부금이 누구를 위해 쓰이는지> 먼저 확인해야 합니다.

 

주로 아프리카와 동남아 등 제3세계의 절대빈곤 상태 아동을

지원하고 싶은 분은 유니세프와 월드비전, 굿네이버스 등

외부 구호단체에 후원해 주십시오.

 

동작의 가난한 이웃과 그 자녀들의 행복한 미래를 위해

지원하고 싶은 분은 동작복지재단에 후원해 주십시오.

동작을 위해 <동작복지재단>을 지켜주십시오. 




+ Recent posts